전자세금계산서 발행
:: 세금계산서 발행 주의점 / 세금계산서 날짜
안녕하세요 :-)
오늘은 세금계산서에 대해서 정리하겠습니다
세금계산서 처리를 하다 보면
세금계산서 발행방법이나. 역발행 세금계산서, 세금계산서 수정 등등
궁금한 점이 많이 생기는데요
세금계산서란?
우선 세금계산서란
사업자가 물건을 사고 팔 때 거래하였다는 사실을 확인하는 문서입니다
* 직전 연도의 공급가액(=매출액)이 3억 원 이상이면 의무적으로 발급을 해야 합니다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전자세금계산서의 양식입니다
1. 공급자 / 공급받는자
첫 번째 공급자는 세금계산서를 발행하는 사업자
공급받는 자는 세금계산서를 받는 사업자를 의미합니다
A와 B 회사가100만 원을 거래했다고 가정
A회사가 B회사에게 100만원을 청구해야 함
A가 B에게 세금계산서 발행
이때
A는 "공급자" / B는 "공급받는 자"
B가 A에게 100만 원 지불
따라서 매출이 발생하는 회사는 공급자고
매입(비용)이 발생하는 회사는 공급받는 자를 의미합니다
2. 이메일
전자세금계산서 이메일란은
세금계산서가 발행된 뒤
이메일로 계산서 파일을 받을 수 있는 메일을 적으면 됩니다
이때 파일은
사업자 번호를 입력하면
PDF 파일로 저장할 수 있어요
*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시
이메일은 필수기재사항인지?
많이 궁금하실 수도 있는데요,
이메일란은 필수 기재란은 아니지만
기재하지 않을 시 거래처에서
이메일로는 세금계산서를 확인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어요
3. 날짜
전자세금계산서에는 날짜란을 꼭 작성해야 합니다
발급일자와 전송 일자 두 가지가 있어요
* 발급일자란?
실제로 세금계산서를 거래처에게 발급 처리한 날짜를 뜻합니다
여기서 가장 주의할 점은!
세금계산서는 공급시기(작성일자)가 속하는 다음 달 10일까지는
발급 처리가 꼭 되어야 합니다
* 전송 일자란?
발행된 세금계산서를 국세청에 전송. 신고한 날짜입니다
또한 날짜 작성 시에 알아두어야 할 점이 또 있어요!
미래 날짜로는 발급이 불가합니다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시
작성일은 오늘 날짜나 과거 날짜로만 발행이 가능해요
다음 포스팅은
전자세금계산서 수정 발행, 역발행에 대해서 포스팅하겠습니다 :)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