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계에서 부채란?
부채의 계정과목
안녕하세요 거울 경이입니다
저번 포스팅에서는 회계에서 자산의 정의와 분류, 자산의 계정과목에 대해서 정리해보았습니다
[회계] 자산 부채 자본 구별하기 (1) - 자산, 계정과목
자산 부채 자본 구별하기 (1) - 자산, 계정과목 기업의 재무제표를 보는 경우는 회사에서 경영 관련 업무를 볼 때도 많이 이용하지만. 개인이 기업에 투자할 때도 재무상태표를
yyoon.tistory.com
이번엔 자산과 분리될 수 없는 개념인 부채에 대해서 정리해볼게요!
부채(liabilities)의 의의
기업이 미래에 타인에게 일정한 금액을 지급하여야 할 의무가 있는 채무를 부채라고 합니다
부채의(liabilities)의 분류
부채도 자산과 마찬가지로 유동부채와 비유동부채로 나누어집니다
1년을 기준으로 이동되는지 안되는지에 따라 분류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정상적인 영업주기 이내에 소멸할 것이다 라고 예상하는 매입채무와 미지급 비용 등등은 보고기간 종료일부터
1년 이내에 결제되지 않더라도 유동부채로 분류합니다
또 화폐가치 변동시 영향에 따라서 화폐성 부채와 비화폐성 부채로도 나눌 수 있습니다
기업의 정상적인 영업주기 내에 상환 등을 통하여 소멸할 것이 예상되는 매입채무와 미지급 비용 등의 부채 |
보고기간종료일로부터 1년이내에 상환되어야 하는 단기차입금 등의 부채 |
보고기간 후 1년 이상 결제를 연기할 수 있는 무조건의 권리를 가지고 있지 않은 부채 |
* 그 밖의 모든 부채는 비유동부채라고 할 수 있다.
부채의 계정과목
과목 | 내용 |
외상매입금 | 상품, 원재료를 외상으로 매입한 경우 |
미지급금 | 상품, 원재료 이외의 자산을 외상으로 구입한 경우 |
매입채무 | 외상매입금과 지급어음 금액을 합한 금액 |
지급어음 | 상품, 원재료를 매입하고 어음을 발행한 경우 |
단기차입금 | 1년 이내에 지급할 조건으로 현금을 빌린경우 |
장기차입금 | 1냔 이후에 지급할 조건으로 현금을 빌린 경우 |
다음 포스팅은 자산, 부채, 자본 중 자본에 대한 글로 정리해볼게요 :)
감사합니다
[회계] 자산 부채 자본 구별하기 (1) - 자산, 계정과목
자산 부채 자본 구별하기 (1) - 자산, 계정과목 기업의 재무제표를 보는 경우는 회사에서 경영 관련 업무를 볼 때도 많이 이용하지만. 개인이 기업에 투자할 때도 재무상태표를
yyoon.tistory.com
[회계] 전산회계기본지식 / 회계단위와 회계연도 정리
전산회계 기본 회계단위/회계연도 안녕하세요:) 거울 경이입니다 오늘은 회계단위와 회계연도의 개념을 알아볼게요 그전에 회계의 기본 정의에 대해서 알고 가면 더 쉽게 이해가 될 거예요! 1.
yyoon.tistory.com
[회계] 기본 계정 과목 정리
회계 기본 계정과목 정리 먼저 계정과목이란 "지불내용"을 의미합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자산, 부채, 지본 등의 변동을 기록하고 계산하기 위하여 계정에 부여된 현금, 예금 등 구체적인 명칭
yyoon.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