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가상각
감가상각이란
재무회계 안에서 중요한 용어이며
필수적인 내용입니다 !
[회계] 재고자산 / 기본용어 정리 상품매매 등식 매입할인과 매출할인 매입에누리 매출에누리
재고자산 :: 상품매매 등식 매입할인과 매출할인 매입 에누리 매출에누리 안녕하세요 거울 경이입니다 오늘은 재고자산에 대한 정리와 재고자산과 관련된 기본 용어인 상품매매등식, 매입할인
yyoon.tistory.com
[회계] 자산 부채 자본 구별하기 (1) - 자산, 계정과목
자산 부채 자본 구별하기 (1) - 자산, 계정과목 기업의 재무제표를 보는 경우는 회사에서 경영 관련 업무를 볼 때도 많이 이용하지만. 개인이 기업에 투자할 때도 재무상태표를
yyoon.tistory.com
감가상각이란?
depreciation
감가상각이란
경과에 의해 감가 되는 고정재산의 가치를
일정한 비율의 비용이나 제품의 제조원가로 계산해
그 금액만큼 고정재산의 취득원가를 매기
계속적으로 감가 하는 회계 절차를 뜻합니다
감가상각 대상 자산
감가상각대상 자산은
크게 유형자산과 무형자산으로 나누어지는데요,
기억해야 할 것은 토지는 감가상각자산이 아닙니다
감가상각자산이란
시간이 지나면서 자산 가치가 감소하는데 토지는
시간이 지나도 감소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감가상각 대상 자산 중
해당되는 유형 고정자산은 건축물, 차량, 운반구, 가구, 비품 등이 있으며
무형 고정자산에는 영업권, 상표권, 특허권 등등이 있습니다
감가상각의 요소
감가상각에는
감가상각 대상금액, 내용연수, 감가상각방법
이렇게 세 가지의 요소가 있습니다
1. 감가상각 대상금액?
감가상각 대상금액은
감가상각의 기준이 되는 금액입니다
유형자산의 감가상각 대상금액은 내용연수에 걸쳐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배분됩니다
또 감가상각액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2. 내용연수
감가상각에서 내용연수란
자산의 사용 가능한 기간을 뜻합니다
세 번째 감가상각방법은
구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감가상각방법
감가상각방법은
총 네 가지로
정액법, 정률법, 생산량 비례 법. 연수 합계 법이 있습니다
첫 번째 정액법이란
유형자산의 취득원가에서 잔존가치를 차감한 감가상각 대상금액을 매기 간 균등하게 상각 하는 방법입니다
단, 세법은 잔존가액을 인정하지 않습니다
두 번째 정률법이란?
기초의 장부금액에 상각률을 곱하여 감가상각비를 구하는 방법입니다
자산을 구입한 초기에는 감가상각액을 많이 계상하고,
후반부로 갈수록 감가상각비를 낮추어가는 방법입니다
감가상각비 = 미상각 잔액 (취득가액 - 감가상각 누계액) x 정률(상각률)
세 번째로 생산 비례 법은
제조공업의 제조량, 운수업의 주행거리, 광산업의 채광량 등에 비례하여
그 가치가 감소하는 감모 성 자산 또는 소모성 자산의 상각액을 계산하는데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네 번째 연수 합계 법이란
취득원가에서 잔존가액을 차감한 금액을 내용연수의 합계로 나누고
그 금액에 내용연수의 역순을 곱하여 산출하는 방법입니다
정률법과 같이 초기에는 감가상각액이 많고
후반부로 갈수록 강가 상각비가 적어집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