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형자산 정리
무형자산의 인식과 상각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무형자산의 인식 요건입니다
무형자산의 인식 요건에는 총 세 가지가 있는데요,
무형자산의 인식 요건
1) 식별가능성
무형자산의 정의에서는 영업권과 구별하기 위하여 무형자산이 식별 가능할 것을 요구한다
2) 통제
무형자산의 밀 경제적 효익을 확보할 수 있고 그 효익에 대한 제삼자의 접근을 제한할 수 있다면 자산을 통제하고 있는 것이다
3) 미래 경제적 호익
무형자산의 미래 경제적 효익은 재화나 매출이나 용역 수익, 원가절감, 또는 자산의 사용에 따른 기타 효익의 형태로 발생한다
이렇게 세 가지를 정리해보았습니다
내부적으로 창출한 영업권
두 번째는 내부적으로 창출한 영업권입니다
미래 경제적 효익을 창출하기 위하여 발생한 지출이라도 이 장의 인사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면
무형자산으로 인식할 수 없다
그러나 지출은 대부분 내부적으로 영업권을 창출하지만,
내부적으로 창출한 영업권은 원가를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기업이 통제하고 있는 식별 가능한 자원도 아니기 때문에 자산으로 인식하지 않습니다
내부적으로 창출한 무형자산
세 번째는 내부적으로 창출한 무형자산입니다
내부적으로 창출한 무형자산이 인식 기준에 부합하는지를 평가하기 위하여 무형자산의 창출과 정을 연구 단계와 개발단계로 구분합니다
무형자산을 창출하기 위한 내부 프로젝트를 연구단계와 개발단계로 구분할 수 없는 경우에는
그 프로젝트에서 발생한 지출은 모두 연구단계에서 발생한 것으로 봅니다
내부적으로 창출한 무형자산 (1) 연구단계
내부적으로 창출한 무형자산에는
연구단계와 개발단계가 있습니다
연구단계는 미래 경제적 효익을 창출할 무형자산이 존재한다는 것을 입증할 수 없기 때문에 연구단계에서 발생한 지출은 무형자산으로 인식할 수 없고
발생한 기간의 비용으로 인식합니다
내부적으로 창출한 무형자산 (2) 개발단계
개발단계에서 발생한 지출은 무형자산 인식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만 무형자산으로 인식하고
그 외의 경우에는 발생한 기간의 비용으로 인식합니다
무형자산의 상각
무형자산의 상각에는
상각기간, 상각방법, 잔존 가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무형자산의 상각기간
무형자산의 상각 대금액은 그 자산의 추정 내용연수 동안 체계적인 방법에 의하여
비용으로 배분합니다
무형자산의 상각기간은 독점적, 배타적인 권리를 부여하고 있는 관계 법령이나 계약에 정해진 경우를 제외하고는
20년을 초과할 수 없습니다
상각은 자산이 사용 가능한 때부터 시작합니다
무형자산의 상각방법
무형자산 상각방법은
자산의 경제적 효익이 소비되는 행태를 반영한 합리적인 방법이어야 합니다
합리적인 상각방법을 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정액법을 사용합니다
무형자산 상각 잔존가치
무형자산의 잔존가치는
없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