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장 부호의 사용 1 / 마침표 물음표 느낌표
오늘은 문장 부호의 사용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국립국어원에 정의되어 있는 문장은 총 21가지가 있는데요 오늘은 그 중 세가지 마침표, 물음표, 느낌표에 대해서 정리할꺼에요 ! 문장 부호는 '글
yyoon.tistory.com
안녕하세요 !
저번글 마침표, 물음표, 느낌표 사용에 이어
이번엔 문장부호 중 소괄호, 중괄호, 대괄호의 사용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1. 소괄호 ()
1) 주석이나 보충적인 내용을 덧붙일 때 쓴다.
- 2020.08.12.(수)
- 니체(독일의 철학자)의 말을 빌리면 다음과 같다.
2) 우리말 표기와 원어 표기를 아울러 보일 때 쓴다.
-커피(coffee)
-기호(嗜好)
3) 생략할 수 있는 요소임을 나타낼 때 쓴다.
-학교에서 동료 교사를 부를 때는 이름 뒤에 '선생(님)'이라는 말을 덧붙인다.
4)희곡 등 대화를 적은 글에서 동작이나 분위기. 상태를 드러낼 때 쓴다
-오늘은 날씨가 좋네요?(기쁜 목소리로)
5) 내용이 들어갈 자리임을 나타낼 때 쓴다.
- 우리나라의 수도는 ( )이다.
6) 항목의 순서나 종류를 나타내는 숫자나 문자 등에 쓴다.
-(가)동해, (나)서해, (다)남해
2. 중괄호 { }
1) 같은 범주에 속하는 여러 요소를 세로로 묶어서 보일 때 쓴다.
- 주격 조사 {이 가}
- 국가의 성립 요소 {영토 국민 주권}
2)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가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음을 보일 때 쓴다.
- 아이들이 모두 학교{에,로,까지}갔어요.
3. 대괄호 [ ]
1) 괄호 안에 또 괄호를 쓸 필요가 있을 때 바깥쪽의 괄호로 쓴다.
2) 고유어에 대응하는 한자어를 함께 보일 때 쓴다.
3) 원문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설명이나 논평 등을 덧붙일 때 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