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 한국어교육

읽기의 개념

by 거울경이 2020. 8. 11.

[ 읽기의 개념 ] 

읽기는 언어 사용의 한 양상으로서 문자 언어를 통해 이루어지는 이해 활동이다. 

 

읽기의 주체인 독자와 읽기의 대상인 텍스트가 독자의 이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양자가 상호 어떤 관련성을 맺고 있는지를 보는 관점에 따라 읽기에 대한 개념 정의가 달라져왔다. 

#전통적 관점

오랫동안 언어 교육에서 읽기는 수동적인 이해 기능으로서 단선적인 활동으로 이해되었다.

이런 입장의 전제는 글의 의미는 텍스트 속에 고정되어 있으며 이 경우 읽기는 독자가 텍스트에 포함된 내용을 이해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1970년대

70년대에 이르러 인지심리학으로부터 읽기에 관한 새로운 관점이 대두되었다. 

그것은 바로 독해에서 텍스트보다 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독자가 텍스트에 끌어들이는 배경지식이라는 인식.

 

배경지식이란 독해 과정에서 독자가 끌어들이는 지식의 구조를 말한다. 

이제 읽기는 수동적인 언어 해석 과정이 아니라 독자가 주어진 글에서 의미를 구성해 나가는 역동적인 과정으로 이해.

 

#Hudelso(1994)

의미의 형성은 한 개인이 기호로 나타내어진 문서를 처리함으로써 이루어지는데, 이때 글에 대한 독자의 반응, 의미 해석, 독자가 글을 읽는 목적 뿐만 아니라 독자의 과거 경험이나 언어 및 문화적 배경이 독자가 문서를 처리하는데 영향을 미친다. 

 

#Grabe(1991)

- 글에 대해 독자가 갖는 기대와 목적이 바로 글의 이해라 설명 

- 읽기 과정에 포함되는 기능과 지식 6가지 

1. 자동적인 인식 기능

2. 단어와 문법에 대한 지식

3. 형식적 담화구조에 대한 지식

4. 내용/세계에 대한 배경 지식

5. 종합하고 평가하는 능력/전략

6. 학습을 감독하는 상위인지능력과 기술 

 

[ 읽기의 특성 ] 

#읽기의 목적 (Wallace, 1992)

1. 생존을 위한 읽기

2. 학습을 위한 읽기

3. 즐거움을 위한 읽기

#읽기의 특성

1. 읽기는 목적을 가진 이해 활동

2. 읽기는 선택적 이해 활동 

3. 읽기 목적과 텍스트의 유형에 따라 읽기 방식이 달라진다

 

[ 읽기 능력과 어휘력 ] 

읽기 능력은 제1언어 화자, 제2언어 화자 모두에게 어휘 발달의 주된 요인이 될 수 있다.

어휘 지식이 읽기를 도울 수 있고, 읽기 또한 어휘 성장에 기여할 수 있다. 

Hirsh and Nation(1992) 에서는 읽기가 즐거운 활동이 되기 위해서는 텍스트에 나오는 단어의 98~99% 정도는 알고 있는 것이 바람직 하다고 제안하고 있다. 

 

Garver(1994)는 모어 어휘 습득에 대한 연구를 통해 어휘 확장을 목적으로 읽기를 이용하는 학습자는 약간 어려운 자료를 읽을 필요가 있다고 주장함 -> 쉬운 읽기 텍스트는 어휘 지식의 깊이를 증가시킬 수는 있지만 어휘 지식의 폭을 넓혀 주지는 않는 것임 

 

교사는 학습자의 다양한 읽기 목적에 맞추어 읽기 자료를 제공해 주어야한다. -> 읽기를 통해 어휘를 학습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면 거기에 맞는 읽기 자료를, 읽기에서의 유창성 개발이 학습자의 주된 목적인 경우라면 그것에 읽기 자료를 맞추어 제공하는 것. 

 

읽기 자료의 선택을 학습자에게 맡길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학습자가 읽기의 유형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하고 읽기 유형에 따라 필요한 지식을 갖추고 있어야만 한다. 

공인된 어휘 편가 도구를 사용할 수도 있고 그런 평가 도구가 없다면 텍스트의 일부를 학습자에게 읽게 하고 모르는 단어를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학습자의 이해 어휘 지식을 대략적으로 확인해 볼 수도 있다. 

 

 

 

어휘 교육과 듣기

1. 듣기의 개념 - 듣기는 언어 사용의 한 양상으로서 음성 언어를 통해 이루어지는 이해 활동 - 일상 생활에서 사람들은 평균적으로 말하기의 2배, 읽기의 4배, 쓰기의 5배 정도의 시간을 듣기에 ��

yyoon.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