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헷갈리는 띄어쓰기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할게요 !
한국어 어문 규정
제 5장 제 43항에 따르면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는 띄어 쓴다.
라고 나와있어요 !
일상에서 많이 쓰는 단어 중 띄어쓰기를 잘 모르는 경우가 많은데요 ~~
그 중
올바른 띄어쓰기는 ?
한 개 | 한개 |
옷 한 벌 | 옷 한벌 |
차 한 대 | 차 한대 |
집 한 채 | 집 한채 |
각각 어떤 게 맞는 말일까요?
올바른 띄어쓰기 ! |
한 개 |
옷 한 벌 |
차 한 대 |
집 한 채 |
정답은 이게 맞아요 🙆🏻♀️
다만, 순서를 나타내는 경우나 숫자와 어울리어 쓰이는 경우에는 붙여 쓸 수 있어요 !
예를 들면
두시 삼십분 오초
80원
7미터
이와 같이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여도
숫자뒤에 쓰이면 이렇게 붙여쓴답니다 ㅎㅎ
단위를 나타내는 말이어도
의존 명사이든 자립명사이든
하나의 단어로 인정되는 명사이므로 앞말과 띄어써야 합니다 !
의존 명사일 경우,
나무 한 그루 |
고기 두 근 |
토끼 두 마리 |
물 한 모금 |
전화 한 통 |
종이 석 장 |
자립명사의 경우
국수 한 그릇 |
맥주 세 병 |
꽃 한 송이 |
흙 한 줌 |
이런식으로 사용하는게 맞아요 !
띄어쓰기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13] 한국인도 헷갈리는 한국어 / 한번 한 번
우리말 사용하기 언제 밥 한번 먹자 ! 맞는 표현일까? 우리나라 속담 중 " 한번 엎지른 물은 다시 주워 담지 못한다 " 라는 말이 있다 이때 ' 한번 ' , ' 한 번 ' 중 어떤 것이 맞는 표현일까 ? 이 속��
yyoon.tistory.com
[04] 한국인도 헷갈리는 한국어 /파토나다?파투나다?
우리말 사용하기 ' 나 약속파토났어! ' 올바른 문장일까? 흔히 일상에서 ' 나 약속파토났어 ! ' 라는 말을 자주 쓴다. 하지만 '파토'라는 단어를 검색해보면 사전적인 의미는 없다. 그럼 파토나다��
yyoon.tistory.com
[03] 한국인도 헷갈리는 한국어 / 금새와 금세
우리말 사용하기 금새와 금세 소문이 금세 퍼졌다, 소문이 금새 퍼졌다 ? 일상생활에서 자주 쓰는 단어라도 텍스트로 쓸 때 갑자기 헷갈리는 경우가 종종있다. 우리가 자주 쓰는 단어는 아마 금�
yyoon.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