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사용하기
갯수와 개수 / 횟수와 회수
개수와 갯수 중 올바른 표현
개수와 갯수의 올바른 정답을 알기위해서는 사이시옷(ㅅ)의 사용부터 알고 넘어가야한다 !
한글맞춤법 제4장 4절 제30항에 따르면
사이시옷은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
6개의 두 음절로 된 한자어 '곳간(庫間)', '셋방(貰房)', '숫자(數字)', '찻간(車間)', '툇간(退間)', '횟수(回數)'에만 받치어 적는다.
따라서 한자어+순우리말이 결합한 '최댓값', '최솟값'은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지만,
한자어와 한자어가 결합한 '개수(個數)'는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지 않는다.
*한자어+한자어여도 곳간, 셋방, 숫자, 찻간, 툇간, 횟수 이외에의 한자어에는 사이시옷을 쓰지않는다는 말이다.
개수 個數
발음 [개쑤]
1. 한 개씩 낱으로 셀 수 있는 물건의 수효.
비슷한 경우로 고기를 먹으러 갔을 때 음식점에서 많이 볼 수 있다
‘갈빗살 부챗살 조갯살 찻집 뭇국’ 등의 단어는
갈비+살
부채+살
조개+살
차+집
무+국 의 합성어이기 때문에 사이시옷이 들어간다.
맞는 표현 | 잘못된 표현 |
갈빗살 | 갈비살 |
부챗살 | 부채살 |
조갯살 | 조개살 |
찻집 | 차집 |
뭇국 | 무국 |
맞는 표현 |
곳간(庫間) |
셋방(貰房) |
숫자(數字) |
찻간(車間) |
툇간(退間) |
횟수(回數) |
맞는 표현 |
개수 |
횟수 |
최솟값 |
최댓값 |
[05] 한국인도 헷갈리는 한국어1 / 결재와결제
우리말 사용하기 결재와 결제 어떤 것이 맞는걸까? 이전글보기 [06] 한국인도 헷갈리는 한국어2 / 몇일전 며칠전 우리말 사용하기 몇 일? 몇일? 며칠? 몇 일? 몇일? 며칠? 몇 일전에 몇일전에, 며칠�
yyoon.tistory.com
[06] 한국인도 헷갈리는 한국어2 / 몇일전 며칠전
우리말 사용하기 몇 일? 몇일? 며칠? 몇 일? 몇일? 며칠? 몇 일전에 몇일전에, 며칠전에 ? 라는 말을 사용할 때 잘못 사용하는 경우가 있을 것 이다. 몇일과 비슷한 몇월을 우선 예로 들면 몇월은 ��
yyoon.tistory.com
[08] 한국인도 헷갈리는 한국어 4/파토나다?파투나다?
우리말 사용하기 ' 나 약속파토났어! ' 올바른 문장일까? 흔히 일상에서 ' 나 약속파토났어 ! ' 라는 말을 자주 쓴다. 하지만 '파토'라는 단어를 검색해보면 사전적인 의미는 없다. 그럼 파토나다��
yyoon.tistory.com
[07] 한국인도 헷갈리는 한국어 3 / 금새와 금세
우리말 사용하기 금새와 금세 소문이 금세 퍼졌다, 소문이 금새 퍼졌다 ? 일상생활에서 자주 쓰는 단어라도 텍스트로 쓸 때 갑자기 헷갈리는 경우가 종종있다. 우리가 자주 쓰는 단어는 아마 금�
yyoon.tistory.com
[09] 한국인도 헷갈리는 한국어 5/재작년 제작년
우리말 사용하기 재작년 제작년 제작년인지 재작년인지 올바른 표현은? 한글은 어렸을 때부터 한 가지로 쓰기 시작하면 바로 잡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는데 지금부터라도 올바른 단어로 사용�
yyoon.tistory.com
댓글